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sqld
- 독후감
- 일빵빵영어회화
- 책리뷰
- 제주여행
- 제주도여행
- 정채진
- 과배란주사
- 카페추천
- 나는 1만 원으로 부동산 한다
- NON EQUI JOIN
- TOP N 쿼리
- 부동산
- 매봉카페
- 국내여행
- 주식
- 미드
- 일빵빵
- sql
- 제주
- 결혼준비
- 재테크
- 영어회화
- 치아교정
- 카페
- 투자
- 제주도
- 난곡카페
- 프렌즈
- 신대방카페
- Today
- Total
목록sql (5)
체다의 기록
JOIN 두 개 이상의 테이블을 연결 또는 결합해 데이터를 출력 PK나 FK값의 연관에 의해 JOIN 성립 PK, FK 관계가 없어도 논리적인 값들의 연관으로 JOIN 성립 가능 한 SQL에서 여러 테이블을 조인할 수 있지만, SQL이 처리할 땐 두 개의 집합 간에서만 JOIN을 수행함 -> 그래서 AND로 계속 묶어야 함 Equi JOIN (동등 조인, 이퀄 조인) '=' 연산자로 하는 조인, 그 외 비교연산자를 사용할 경우는 모두 Non-Equi 두 테이블 간 칼럼값들이 서로 정확하게 일치하는 경우에만 사용 --WHERE절 방법-- SELECT ta1.칼럼명, ta2.칼럼명, FROM table1 AS ta1, table2 AS ta2 WHERE ta1.칼럼A = ta2.칼럼B; --ON절 방법-- ..
ORDER BY절 (중요) ORDER BY에는 GROUP BY 칼럼이나 SELECT의 칼럼만이 올 수 있다. 숫자형 오름차순 -> 작은 값부터 출력 날짜형 오름차순 -> 빠른 날부터 출력 [Oracle] NULL값을 가장 큰 값으로 간주 [SQL server] NULL값을 가장 작은 값으로 간주 만약 ORDER BY 1, 2라면 1번 칼럼 기준으로 ASC한 후 2번 칼럼 기준으로 ASC한다 SELECT A, B, C FROM TABLE1 ORDER BY 2, 3 SELECT문의 2번째로 먼저 정렬 후 3번째로 정렬 즉, B로 ASC 후 C로 ASC함 => SELECT에 A만 있는데 ORDER BY 2 이러면 에러 ORDER BY에 CASE를 적용한 예시 ID 100 100 200 200 200 999 9..
집계함수 여러 행들로 구성된 그룹당 하나의 결과를 돌려주는 "다중행 함수" GROUP BY절은 행들을 소그룹화한다 SELECT / HAVING / ORDER BY 절에서 사용 가능 집계함수명 (ALL | DISTINCT 칼럼) : ALL이 기본값 주로 숫자형에서 사용 -> MIN, MAX, COUNT는 문자, 날짜도 적용 가능 집계 함수 함수 설명 COUNT(*) NULL값을 포함한 행의 수를 출력한다 COUNT(표현식) 표현식의 값이 NULL값인 것을 제외한 행의 수를 출력 SUM([DISTINCT | ALL] 표현식) 표현식의 NULL값을 제외한 합계를 출력 AVG([DISTINCT | ALL] 표현식) 표현식의 NULL값을 제외한 평균을 출력 MAX([DISTINCT | ALL] 표현식) 표현식의 ..
TCL 논리적인 작업 단위를 묶어 DML에 의해 조작된 결과를 작업 단위별로 제어 Commit, Rollback 등이 해당 일부에서는 DCL로 분류하기도 한다 트랜잭션 데이터를 조작하기 위한 하나의 논리적인 작업 단위 밀접히 관련되어 분리될 수 없는 한개 이상의 DB 조작을 가리킴 하나 이상의 SQL 문장이 포함됨 분할할 수 없는 최소단위이므로 전부 적용하거나 전부 취소해야 함 트랜잭션의 특징 특징 설명 원자성 (Atomicity) 트랜잭션의 연산은 모두 성공하거나 모두 실패해야 한다 일관성 (Consistency) 트랜잭션 실행 전 DB에 이상이 없다면 실행 후에도 일관되게 이상이 없어야 한다 고립성 (Isolation) 트랜잭션 실행 중 다른 트랜잭션의 영향을 받아서는 안 된다 지속성 (Durabil..
DML 호스트 프로그램 속에 삽입되어 사용 -> 데이터 부속어 (Data Sub Language)라고도 함 Procedural DML (절차적 데이터 조작어) : 초급언어니까 다 알려줘야 함 사용자가 무슨 데이터 (what) 원하고 어떻게 (how) 접근해 처리할 것인지 명시해야 함 Nonprocedural DML (비절차적 데이터 조작어) : 고급언어니까 어떻게 하는지 알려줄 필요 x 사용자가 무슨 데이터 (what) 원하는지만 명세하고 어떻게 (how) 접근할 것인지는 x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만 선언하기 떄문에 선언적 언어 (declarative language)라고도 함 1. INSERT 테이블에 데이터를 입력하는 명령어 주의사항: 데이터가 문자형일 경우 ' ' (single quotation)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