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치아교정
- TOP N 쿼리
- 영어회화
- 제주
- 투자
- 카페
- NON EQUI JOIN
- 결혼준비
- 제주여행
- 재테크
- sqld
- 신대방카페
- 책리뷰
- 매봉카페
- 프렌즈
- 난곡카페
- 주식
- 미드
- sql
- 일빵빵
- 부동산
- 정채진
- 과배란주사
- 국내여행
- 카페추천
- 독후감
- 제주도
- 제주도여행
- 나는 1만 원으로 부동산 한다
- 일빵빵영어회화
- Today
- Total
체다의 기록
[재테크] 팟빵-신과 함께 (정채진 투자자편 3탄) 본문
재테크 공부를 하게 되면 계속해서 듣게 되는 이름과 에피소드들이 있다. 바로 워런 버핏, 피터 린치 등의 성공한 투자자들의 이야기이다. 최근 재테크의 교과서라고 불리기도 하는 피터 린치의 "이기는 투자" 를 읽고 있는데, 이 이야기는 나중에 재테크&독후감으로 남기기로 하고, 오늘은 팟빵 신과 함께 정채진 투자자편에 나왔던 "버핏에게 배우는 투자의 기본" 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고자 한다.
사실 재테크를 바로 시작하는 사람들의 경우, 성공한 투자자들의 동향 및 과거 경험을 토대로 어떠한 종목을 구매해야 하는가를 많이 고민하고 배우고자 할 것이다. 하지만 나는 이제 갓 투자 공부를 시작한 새내기이기 때문에... 오히려 그들이 어떠한 종목을 선택해서 성공했는가 라는 것보다는, 그들의 투자에 대한 태도에서부터 배울 것이 많았다.
버핏에게 배우는 투자의 기본
- 어떤 회사 주식을 5개 정도 분산 투자를 해서, 본인의 주관에 따라서 매입해서 40~50% 정도 수익을 올리는 경험을 3 차례 정도 하게 됐을 때 한 우물에 몰빵하는 방식으로 투자를 해야 한다.
- 무작정 기다리고 주식을 묵혀뒀다가 수익을 올리는 방식말고, 최대 3년 정도 사이에 수익을 올려야 한다.
- 가능하면 2년 안에 40~50% 정도는 나와줘야 성공적인 주식투자라고 이야기할 수 있다.
- 즉, 3년 정도 경과했음에도 한 번도 20%까지도 오른 적이 없다면 냉정하게 팔아야 한다.
- Business Model 이 정말 좋은 회사에만 장기투자를 해라.
- 그렇지 않은 기업의 경우 적당한 시점에 적당히 파는 것도 중요하다.
버핏이 말하는 주식투자 시 가장 중요한 것
- 절대로 잃지마라
- 복리의 마법을 지키려면 큰 폭으로 잃어서는 안 된다
- 1번 규칙을 절대로 잊지마라
- 이를 위해서 아래의 두 가지가 매우 중요하다
- 회사의 가치와 주식의 가격의 괴리: 안전 margin 확보가 중요하다
- 투명 벽돌을 보는 것이 중요하다
잃지 않기 위한 방법
- 투자를 할 때 네 가지 요소가 중요하다
- 사업을 이해해야 한다
- 경기 성장성이 좋아야 한다
- 경영진이 유능하고 믿을만 해야 한다
- 인수 가격이 합리적이어야 한다
- 실적이 생각과 다르게 악화될 경우, 일시적이냐 아니냐 에 따라서 결정을 해야 한다.
- 매출액 (판매량 변수 / 가격 변수 / 비용 변수) 의 세 가지 중에 원래 예측과 다르고 오래 지속될 것 같은 경우에는 판다. 일시적일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더 산다.
- e.g.) 판매량이 지난 분기에 100만대
- 내 기대 110 -> 120 -> 130 인데, 경쟁사때문에 판매량 10% 감소
- 2, 3분기 정도 지나면 더 감소할 것 같은 경우, 이는 침몰하는 배라고 판단하고 무조건 팔아야 한다.
재테크 공부는 하면 할수록, 대단한 인물들의 성과 뒤에는 엄청난 노력이 숨어 있다는 것을 느끼게 된다.
그래서 때로는 '저렇게 노력하지 않으면 실패하는 일이 훨씬 많을텐데, 내가 전업투자자도 아니고 저렇게까지 할 수는 없을텐데 그러면 결국 잃게 되는것 아닌가' 라는 생각때문에 오히려 안전한 적금 등에 계속 눈이 가게 되는 것 같다.
하지만 언제까지나 은행 금리만큼의 이익이라고 볼 수도 없는 이익으로 만족할 수는 없다. 적금은 그저 돈을 묶어둘 족쇄일 뿐, 나의 돈을 키워주는 거름이 되지는 못한다.
올해는 학생 때로 돌아간 마음으로 경제공부, 재테크 공부를 열심히 해서 늦어도 내년부터는 조금 더 이익을 낼 수 있는 상품에 투자할 수 있길!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어] 일빵빵 스토리가 있는 영어회화 Scene 03 & 04 (0) | 2019.10.08 |
---|---|
[영어] 일빵빵 스토리가 있는 영어회화 Scene01 & 02 (0) | 2019.10.07 |
[재테크] 팟빵-신과 함께 (정채진 투자자편 2탄) (0) | 2019.08.06 |
[코딩] 생활코딩으로 코딩배우기 : HTML (2탄) (0) | 2019.07.25 |
[코딩] 생활코딩으로 코딩배우기 : HTML (0) | 2019.05.28 |